💡 “도메인은 주소인데, 서버는 컴퓨터잖아?”
우리는 인터넷을 쓸 때 이렇게 입력하죠
🔎 www.naver.com, www.google.com
하지만 실제 서버는 숫자로 된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요.
그럼 질문! ❓
“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, 어떻게 그 숫자 서버로 연결되는 걸까요?”
바로 여기서 등장하는 게 DNS(Domain Name System)입니다!
오늘은 그 과정을 쉽게 풀어볼게요. 😄
🏡 도메인이란?
도메인(Domain)은
🌐 인터넷상의 웹사이트 주소입니다.
📌 예:
- www.coupang.com
- learnkoreanhub.tistory.com
💬 쉽게 말해:
"인터넷 세상의 집 주소"라고 생각하면 돼요!
💻 서버는 IP 주소를 사용해요
서버끼리는 숫자(IP 주소)로 서로 통신해요.
📦 예시:
- 142.250.206.36 (구글의 IP 중 하나)
그런데 사람이 이걸 외우긴 너무 어려워요… 😵
그래서 사람이 보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붙인 거예요!
🔄 DNS란?
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,
사람이 입력한 도메인 이름을
서버의 IP 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이에요.
즉, “도메인 → IP 주소”를 알려주는 전화번호부📖 같은 역할!
🔍 실제 흐름은 이렇게 돼요!
1. 사용자가 www.naver.com 입력
2. DNS 서버가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찾아줌
3. 브라우저가 그 IP 주소로 접속
4. 서버에서 웹사이트 데이터 받아서 화면에 표시
모든 과정이 1초 안에 이루어집니다. ⚡
🌐 DNS가 없다면?
- 도메인 없이 매번 IP 주소를 외워야 해요… 🥲
- 보안 연결도 어렵고, 여러 도메인 연결도 힘들죠!
📌 그래서 DNS는 웹의 필수 인프라입니다.
인터넷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숨은 영웅이죠.
🧩 도메인을 서버에 연결하는 방법은?
- 도메인 구입 (예: 가비아, 카페24, GoDaddy 등)
- DNS 설정에서 A레코드나 CNAME 입력
- 서버의 IP 주소와 연결 완료!
💡 이 설정을 통해
“내 도메인 이름 → 내 서버 IP”로 연결되는 거예요.
🧠 정리 한마디!
- 도메인: 사람이 읽기 쉬운 웹주소
- IP 주소: 컴퓨터가 통신할 때 쓰는 숫자 주소
- DNS: 둘을 연결해주는 전화번호부 같은 시스템
👉 도메인을 입력하면, DNS가 IP를 알려주고
👉 그 IP로 서버에 연결되어 웹사이트가 뜨는 구조입니다!
📌 다음 예고: “서버 호스팅 vs 클라우드, 어떤 차이가 있을까?”
- 웹사이트를 만들 땐 서버가 필요하다는데, 어디에 올리지?
- 호스팅이랑 클라우드는 뭐가 다르고, 언제 어떤 걸 써야 할까?
- 카페24 vs AWS vs Vercel 비교
[서버 기초] 서버 호스팅 vs 클라우드 서버, 어떤 차이가 있을까?
💡 “웹사이트를 만들려면 서버가 필요하다고?”누군가 이렇게 질문할 수도 있어요."내가 웹사이트를 만들었는데, 이제 어디에 올려야 하지?" 정답은 ‘서버’에 올려야 합니다.그런데, 서버
it-afternoon.tistory.com
'개발 공부 > 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서버 기초] API란?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법, REST와 GraphQL까지! (0) | 2025.04.01 |
---|---|
[서버 기초] 서버 호스팅 vs 클라우드 서버, 어떤 차이가 있을까? (0) | 2025.03.31 |
[서버 기초] HTTPS란? HTTP랑 뭐가 다르고, 왜 중요할까? (0) | 2025.03.27 |
[서버 기초] HTTP란? 웹에서 요청과 응답이 오가는 원리 (0) | 2025.03.26 |
[서버 기초] 정적 웹사이트 vs 동적 웹사이트, 뭐가 다를까? (0) | 2025.03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