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개발 공부/서버

[서버 기초] 도메인 연결과 SSL 인증서, HTTPS 적용 원리 총정리!

by 악마의 개발자 2025. 4. 21.
반응형


💡 “주소창에 자물쇠 아이콘 어떻게 생기는 거지?”

우리가 흔히 보는 웹사이트 주소창!

https://yourdomain.com 🔒

어떻게 저렇게 HTTPS랑 자물쇠가 붙을까?
그냥 도메인 연결만 하면 끝나는 게 아니었어?

오늘은 그 과정을 전부 정리해볼게요!


🌐 도메인 연결 원리 복습

  1. 도메인 구매 (가비아, 닷홈, GoDaddy 등)
  2. DNS 설정에서 A 레코드 → 서버 IP 연결
  3. 사용자는 도메인 입력 → DNS 통해 서버 IP 도달
  4. 서버에 접속 성공

→ 여기까진 그냥 http://yourdomain.com 상태


🔐 HTTPS란?

HTTPS = HTTP + SSL/TLS 보안

즉, HTTPS를 쓰려면 서버에
SSL 인증서(보안서버 인증서) 가 설치돼 있어야 해요.

이 인증서 덕분에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 통신이 암호화됩니다.


📜 SSL 인증서란?

SSL 인증서는

"이 서버는 진짜 맞아요!" 를 증명해주는 보안 증명서

발급 방법

  • 유료: GlobalSign, Sectigo, DigiCert
  • 무료: Let's Encrypt (대부분 사용)

☁️ Let's Encrypt 무료 인증서 발급 예시

  1. 서버에 certbot 설치
  2. 명령어 실행
sudo certbot --nginx -d yourdomain.com -d www.yourdomain.com

   3. 자동으로 SSL 인증서 발급 & Nginx 설정 완료

→ 자동으로 https://yourdomain.com 연결 가능!


🔧 Nginx SSL 적용 설정 예시

server {
  listen 443 ssl;
  server_name yourdomain.com www.yourdomain.com;

  ssl_certificate /etc/letsencrypt/live/yourdomain.com/fullchain.pem;
  ssl_certificate_key /etc/letsencrypt/live/yourdomain.com/privkey.pem;

  location / {
    proxy_pass http://localhost:3000;
  }
}

🚀 http 요청 자동 https 리다이렉트

server {
  listen 80;
  server_name yourdomain.com www.yourdomain.com;
  return 301 https://$host$request_uri;
}

→ http로 접속해도 자동으로 https로 변경!


🧠 정리 한마디!

단계 해야 할 일
1단계 도메인 구입 & DNS → 서버 연결
2단계 서버 준비 & Nginx 세팅
3단계 SSL 인증서 발급 (Let's Encrypt 추천)
4단계 Nginx HTTPS 설정
5단계 HTTP → HTTPS 자동 리다이렉트 설정

완료하면 주소창에 자물쇠 등장! 🔒


📌 다음 예고: 21편 – “서버 인프라 구조 총정리! 웹 서비스 구조 한 눈에 보기”

  • 지금까지 배운 서버 기초 내용 통합!
  • 실제 서비스 구조 Diagram
  • 실무에서 서버 구조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한방 정리
 

[서버 기초] 서버 인프라 구조 총정리! 실무 웹서비스 구조 한 방에 보기

💡 “이제 서버 기초 다 배웠는데, 전체 그림은 어떻게 될까?”지금까지 배운 서버 기초 시리즈!배운 내용핵심 키워드서버란?클라이언트 & 서버 구조HTTP & HTTPS통신 프로토콜 & 암호화도메인 & DNS

it-afternoon.tistory.com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