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 공부/서버

[서버 기초] HTTP란? 웹에서 요청과 응답이 오가는 원리

악마의 개발자 2025. 3. 26. 20:00
반응형


💡 “서버는 어떻게 내 말을 알아듣는 걸까?”

우리가 브라우저에 주소를 치고 엔터를 치면
서버가 척! 하고 정보를 보내줘요.
하지만 질문! 👀

“서버는 도대체 내가 뭘 원하는지 어떻게 아는 걸까요?”

 

정답은 바로,
HTTP라는 약속된 통신 규칙 덕분이에요! 💬
오늘은 이걸 아주 쉽게 설명드릴게요.


🌐 HTTP란?

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,
웹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약속된 규칙(프로토콜)이에요.

 

📬 쉽게 말해,

“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대화할 때 쓰는 언어”
“브라우저가 서버에게 요청하고, 서버가 응답하는 형식”


🔁 요청과 응답, 어떻게 이루어질까?

웹에서는 아래처럼 통신이 이루어져요:

  1. 🙋‍♀️ 클라이언트(브라우저): “이 페이지 좀 보여줘요!”
  2. 🖥️ 서버: “알겠어요, 여기 정보 보내드릴게요!”
  3. 💻 클라이언트: 받은 정보를 화면에 출력

이때 사용되는 통신 방식이 바로 HTTP입니다.


🔑 HTTP 요청의 구성요소

HTTP 요청은 단순히 “정보 주세요~”가 아니라,
정해진 형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합니다.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아요:

  • 요청 메서드(Method): 어떤 행동을 원하는지 (예: GET, POST)
  • 요청 URL: 어떤 자원에 대한 요청인지
  • 헤더(Header): 추가 정보 (예: 사용자 정보, 인증 정보)
  • 본문(Body): 실제로 보내는 데이터 (주로 POST에서 사용)

📮 자주 쓰는 HTTP 메서드 2가지

1. GET

  • 데이터를 요청할 때 사용
  • 예: “게시글 목록 좀 보여주세요”
  • 주소창에 정보가 노출됨
  • 주로 조회용 요청에 사용

2. POST

  • 데이터를 서버에 보낼 때 사용
  • 예: “회원가입 정보 보내드릴게요”
  • 주소창에 안 보이고, Body에 담겨 전송됨
  • 주로 등록/수정/로그인 등에 사용

📦 HTTP 응답(Response)은 어떻게 오나요?

서버는 요청을 받고, 응답할 때도 정해진 구조로 보내줘요.

  • 상태 코드(Status Code): 요청 성공 여부 표시
  • 헤더(Header): 응답 정보
  • 본문(Body): 실제 데이터 (예: HTML, JSON)

🚨 상태 코드는 이런 의미예요!

상태 코드의미
200 성공
404 페이지를 찾을 수 없음
500 서버 내부 오류
403 접근 권한 없음
301 다른 주소로 이동했어요 (리다이렉트)

📌 예시로 쉽게 정리!

🙋‍♂️ 나: “GET /news”
📨 서버: “200 OK + 뉴스 페이지 HTML”
🙋‍♀️ 나: “POST /login”
📨 서버: “200 OK + 로그인 성공 메시지 or 실패 안내”

🧠 정리 한마디!

  •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정보를 주고받는 규칙입니다.
  • 요청(Request) → 서버 처리 → 응답(Response)
  • GET은 “가져오기”, POST는 “보내기”
  • 응답 코드로 성공/실패를 판단할 수 있어요!

📌 다음 예고: “HTTPS는 뭐가 다른가요? 보안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?”

  • HTTP랑 HTTPS의 차이점은?
  • 인증서, 암호화, SSL, TLS까지 한 방에 이해해보기!
  • 실무에서 HTTPS를 적용하는 이유
 

[서버 기초] HTTPS란? HTTP랑 뭐가 다르고, 왜 중요할까?

💡 “요즘 사이트 주소에 자물쇠 아이콘 보셨나요?”브라우저 주소창 왼쪽에 🔒 자물쇠 아이콘이 보인다면,그 웹사이트는 HTTPS를 사용하고 있다는 뜻이에요.그런데 궁금하지 않으세요?“HTTP랑

it-afternoon.tistory.com

 

반응형
댓글수0